디지털 공간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보세요

다양한 산업에서 실내 지도 제작과 위치 기반 서비스를 통해 운영 효율성과 사용자 경험을 혁신합니다.
전시회, 공장, 박물관 등에서 성공적으로 구축된 사례와 더불어,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솔루션을 만나보세요.

모바일 앵커(Anchor)로 보는 OS별 거리 측정 테스트

안녕하세요 프리그로우입니다. 오늘은 저희 모바일 앵커(Anchor)를 활용해 안드로이드와 iOS 환경에서 각각 어느 정도 거리까지 측정이 가능한지 테스트한 내용을 간단히 소개드리려 합니다. 실제 사용자분들이 가장 궁금해하시는 부분 중 하나가 “내 스마트폰에서 앵커와 어느 정도 떨어져 있어도 신호가 잘 잡히는가”인데요. 그래서 운영체제별로 동일한 조건에서 실험을 진행했고, 그 결과를 공유합니다. 이번 테스트는 앵커를

더보기

스마트 전시 기술, BLE와 UWB로 완성하는 위치 기반 큐레이션

안녕하세요~ 프리그로우입니다! 요즘 박물관, 미술관, 전시장에서도 ‘스마트 전시 기술’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전시를 어떻게 구성하느냐 못지않게, 방문객에게 어떤 관람 경험을 제공하느냐가 큰 경쟁력이 되기 때문이죠. 그 중심에는 관람객의 위치를 인식하고, 그에 맞는 콘텐츠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위치 기반 큐레이션 기술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위치 기술, 한 가지만으론 부족할 때가 많습니다.​그래서

더보기

UWB 실내 측위에서 Z축 정확도를 높이는 앵커 설치 방법

안녕하세요, 프리그로우입니다 😊 UWB 기반 실내 측위 시스템을 설치하실 때, 대부분은 평면(XY) 위치만 고려하시는 경우가 많죠. 하지만! 작업자 안전, 드론 위치, 다층 공간 구분처럼 Z축(높이) 정보가 중요한 상황이라면? 기존 설치 방식만으로는 정확한 높이 데이터를 얻기 어려울 수 있어요. 오늘은 UWB 크리에이터 키트를 사용할 때, 정확한 Z축 좌표까지 안정적으로 측정하려면 앵커를

더보기

UWB 크리에이터 키트 기반 UWB RTLS 실험, 보행자 인식과 위험구역 알림 성과

안녕하세요, 프리그로우입니다. 👋 지난 글에서는 한 대학생 프로젝트 팀이 DIY DWM1000 모듈의 실패 경험을 바탕으로, 결국 UWB 크리에이터 키트를 도입하게 된 이야기를 전해드렸습니다. UWB 크리에이터 키트를 선택하면서 “드디어 프로젝트를 제대로 진행할 수 있겠다”는 자신감을 얻은 학생들은, 이제 본격적으로 실험에 들어갔습니다. 오늘은 그들의 실제 실험 환경과 성과를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실험 세팅

더보기

UWB 크리에이터 키트로 다시 시작한 RTLS, 도입 이유와 초기 성과

안녕하세요, 프리그로우입니다. 지난 글에서 한 대학생 프로젝트 팀이 Crowtail DWM1000 모듈과 DIY DWM1000 납땜 모듈을 활용해 시도했지만, 통신 불안정과 하드웨어 한계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던 사례를 소개해드렸습니다. 그 과정에서 얻은 가장 큰 교훈은 바로 하나였습니다. “검증된 모듈을 선택해야 프로젝트가 성공할 수 있다.” ​그래서 학생들은 결국, UWB 크리에이터 키트를 새롭게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더보기

UWB DIY 실패에서 배운 교훈, 왜 UWB 크리에이터 키트을 선택했을까?

안녕하세요, 프리그로우입니다. 캡스톤 디자인이나 졸업 프로젝트를 준비하다 보면 “비용 아껴서 직접 모듈 조립해 쓰면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 다들 한 번쯤 해보셨을 거예요. 이번에 소개할 사례도 바로 그 출발에서 시작됐습니다. 한 대학생 프로젝트 팀이 UWB 기반 보행자 위치 인식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DWM1000 모듈을 직접 조립해 실험했지만, 결과는 예상과 달리 쉽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