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wSpace Q1 키트는 실내 공간 내 태그의 3차원 좌표(X, Y, Z)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UWB 기반 RTLS 시스템입니다.
기본적으로 XY 평면 위치 정보는 대부분의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측정되지만,
Z축(높이) 정보의 정확도는 앵커의 설치 구조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만약 Z축(높이) 정보가 중요한 환경이라면, 반드시 설치 구조를 달리해야 합니다.
단순한 평면 설치만으로는 정확한 Z좌표를 얻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에서는 Z축 위치 정확도 향상을 위한 권장 배치 방식과 실무 적용 팁을 정리합니다.
📡GrowSpace Q1 키트의 위치 출력 예시
GrowSpace Q1 키트를 이용하면 개발자 태그 또는 리스너 장비를 통해 다음과 같은 3차원 위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예시 출력 (시리얼 통신 기반):
X: 12.34, Y: 56.78, Z: 9.01
- 또는 리스너 장비 연결 시 POS 메시지 형식으로 위치 좌표(X, Y, Z) 출력

이를 통해 XY 평면뿐 아니라 Z축 높이 정보까지 실시간 확인할 수 있습니다.
Z축 정확도에 영향을 주는 설치 구조
GrowSpace Q1 키트는 TWR(Time of Flight) 기반 거리 측정을 활용하여 태그 위치를 계산합니다.
그러나 모든 앵커를 같은 높이(예: 천장)에 설치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 태그가 천장 위 1m 혹은 아래 1m에 있어도 거리 측정값은 동일 → 시스템은 태그의 Z축 방향을 식별할 수 없음

해결 방법: 입체적(비평면) 앵커 설치
Z축 방향을 구분하려면 앵커를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해야 합니다.
추천 배치 예시:
- 천장 2개 + 바닥 2개 배치
- 또는 벽면, 기둥 등 다양한 높이에 앵커 분산 설치

이렇게 구성하면, 태그의 Z축 위치에 따라 각 앵커와의 거리 차이가 명확히 나타나고,
3차원 좌표계에서 보다 정밀한 측위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중대형 공간에서의 설치 팁 (40m × 20m 이상)
단순히 네 모서리에만 앵커를 설치할 경우, 거리 간 분포가 불균형해 정확도 저하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이 추가 배치를 권장합니다:
- 공간 네 귀퉁이에 기본 앵커 4개 설치
- 중앙 또는 벽면 중간지점에 보조 앵커 2~3개 추가 배치
- 가능한 경우 앵커 간 거리를 15~20m 이하로 유지
- 앵커는 서로 다른 높이에서 배치

이러한 구조를 통해 RTLS 시스템은 보다 고르게 수신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Z축 포함 3차원 위치 정밀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결론
GrowSpace Q1 키트는 3차원 공간에서의 정밀한 위치 추적을 가능하게 하지만,
Z축까지 정확하게 측정하려면 앵커의 설치 구조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천장에만 앵커를 설치한 경우, Z축 방향 구분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다양한 높이로 입체적 배치를 꼭 고려해 주세요.